종교학 세미나 한국 불교의 역싸와 흐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5 04:04
본문
Download : 종교학 세미나 한국 불교의 역사와 흐름.hwp
이러한 저의를 소수림왕이 받아들이고 기존 민간 불교세력과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면서 비로소 고구려의 불교 공인이 가능했을 것이다.
2) 백제의 불교 전래
고구려에 불교가 전래된 12…(투비컨티뉴드 )






종교학세미나불교
한국 불교의 역싸와 흐름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종교학 세미나 한국 불교의 역싸와 흐름
Download : 종교학 세미나 한국 불교의 역사와 흐름.hwp( 63 )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한국 불교의 역사와 흐름종교학세미나불교 , 종교학 세미나 한국 불교의 역사와 흐름인문사회레포트 ,
다.
당시의 전진왕이 고구려에 불교를 전파한 이유는 china(중국) 의 북방을 점유하고 남방의 동진과 대치한 상황에서 후방에 위치한 고구려와의 관계를 改善(개선) 하고자 한 정치적인 이유가 깔려있었다. 그리고 그 2년 뒤, 승려 아도가 왔으며, 그 다음해 2월에는 성문사를 세워 순도를 머물게 하고, 이불란사를 지어서는 아도를 머물게 했다. 한국불교사에서는 이렇듯 372년에 고구려에 불교가 전래된 것을 한국불교의 처음 으로 보는 것이 통례인데, 다른 資料들에 의하면 372년 이전에 이미 민간 경로를 통하여 고구려에 불교가 들어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소수림왕의 불교 공인은 이미 전파되어 있었던 민간 신앙의 불교를 재확인한 것에 다르지 않다는 이야기이다.
<목차>
1. 불교의 전래
1) 고구려의 불교 전래
2) 백제의 불교 전래
3) 신라의 불교 전래
2. 통일 신라 이후 불교의 歷史적 흐름
1) 통일 신라 시대의 불교
2) 고려 시대의 불교
3. 조선 시대의 불교
1) 조선 초기의 억불정책
2) 조선 중기의 불교이념
3) 조선 후기의 불교
4. 일제 시대의 한국불교
1) 개화기의 한국불교
2) 일본인에 의한 입성해금
3) 조선사찰 관리청원
4) 조선총독부의 ‘사찰령’ 반포
5) 일본시찰단의 친일행각
6) 조선불교 조계종 출범
5. 격동기의 한국불교
1) 조계종·태고종의 분열
2) 불교종단의 난립
3) 조계종 내부의 갈등
4) 재가신도 참여의 종단개혁운동
나가는 말
<참고資料>
1. 불교의 전래
1) 고구려의 불교 전래
한반도에 최초로 불교가 전해진 것을 기록한 資料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가 있다 이 기록들에 의하면 고구려의 제17대왕인 소수림왕 2년(372년), 전진왕 부견이 사신과 승려 순도를 통해 불상과 불경을 보냄으로써 처음 되었다고 한다.